열돔현상의 원인과 열돔 미세먼지, 열돔현상 태풍, 여름철 건강관리 수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낮 최고기온이 37도까지 오르는 역대급 폭염이 계속되어 이번 여름에도 굉장히 덥습니다. 기상청은 올여름 폭염의 원인 중 하나를 열돔현상이라고 하며, 최대 41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관측하였습니다. 7월에는 햇빛이 강한 따가운 폭염이었고 8월에는 습도가 올라가면서 후덥지근한 폭염과 열대야가 계속될 것입니다.
2018년에도 열돔현상으로 인한 폭염이 계속되면서 온열질환 환자가 다수 발생하였는데 이렇게 폭염이 계속될수록 건강관리에도 유의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름철 건강관리 수칙과 함께 폭염의 원인인 열돔현상의 원인과 여러 현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해보겠습니다.
열돔현상 원인
열돔현상이란 뜨거운 공기 덩어리가 반구형인 돔 형태의 지붕에 갇혀 지표면의 온도를 높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돔 형태의 야구장이 뜨거운 공기로 가득 차있다는 힛돔(Heat Dome)에서 파생되었으며 2016년~2018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면서 여러 언론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입니다.
열돔현상의 원인은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지구가 온난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온난화되면서 극지방의 기온이 상승하니 극지방과 저위도 지역의 기온차가 점점 줄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 열 교환이 이뤄지고 빠르게 뒤섞이면서 공기 흐름도 빨라지는데, 기온차가 줄면서 공기 순환이 덜 이루어져 공기의 흐름도 느려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대기권 상층과 하층에 형성되는 고기압이 계속되고 공기 흐름이 정체되는 현상을 블로킹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기후변화가 열돔현상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열돔현항은 기상 현상이 일어나는 대기권 하층과 대기권 상층에 모두 고기압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한반도 열돔현상은 대기권 하층 5~7km 구간에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대기권 상층 10~12km 구간에 고온 건조한 티베트 고기압이 겹치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1994년 7월 한 달 동안 있었던 폭염, 2016년 8월 말까지 이어지던 폭염, 2018년 7,8월 두 달 동안 기승을 부렸던 폭염도 이 두기단이 한반도 상공에 겹치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고기압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으로 무거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하강 기류를 발생하는데, 고기압 상층과 하층에 있는 공기가 내려오면서 압축 효과가 생겨 기온이 올라오게 됩니다.
공기가 뜨겁게 달궈지면 더운 공기는 위쪽으로 찬 공기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는데, 상승하던 더운 공기가 고기압에 눌려 다시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돔 내부에 갇히게 됩니다. 고기압이 뜨거운 공기를 가두는 돔 지붕 역할을 하여 지표면에 뜨거운 공기가 계속 쌓이는 열돔이 발생하게 됩니다.
열돔현상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캐나다와 미국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미국 서부에 생긴 폭염과 산불도 6월부터 북미 서북지역을 에워싸고있는 열돔 현상에 의해 발생한 것입니다.
열돔현상은 한 번 형성이 되면 자연적으로 파괴되기가 매우 어렵고, 오히려 열돔에 갇혀 기온이 계속 올라가 밤에도 온도가 잘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가 나타나 밤낮으로 폭염에 푹푹 찌는 날씨를 만들어냅니다.
열돔현상 태풍
대기권 상층부에 나타난 고기압으로 열돔현상이 발생했으므로 열돔현상이 사라지려면 상층부에 있는 고기압이 해소되어야합니다. 전문가들은 태풍과 같은 열대성 저기압과 만나야 고기압이 해소될 것이라며 태풍이 한반도로 올라오는 8월까지는 열돔현상이 계속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열돔으로 인한 열기는 주변의 냉기를 차단할 뿐 만 아니라 열돔현상이 매우 크게 생성되었다면 웬만한 태풍으로도 뚫어내지 못하게 됩니다. 실제 2018년 여름의 한반도는 열돔이 너무 강하여 마리아, 암필, 종다리 태풍 3개의 경로를 바꿔놓았고 리피 태풍은 소멸시키기도 했습니다.
폭염이 너무 심해 심각했던 2018년 한반도는 룸비아 태풍이 중국으로 상륙하면서 티베트 고기압을 날려버리고 북쪽에서 건조한 찬 공기를 내려보내는 데 성공하여 열돔을 없애는 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솔릭 태풍으로 2018년 폭염은 완전히 끝나게 됩니다.
열돔 미세먼지
여름에는 바람이 서풍과 남서풍으로 바뀌어서 중국에서부터 날아오는 미세먼지가 줄어들고 장마로 인해 비도 자주 내려 일반적으로 먼지가 감소합니다. 그러나 고기압의 영향으로 열돔이 형성되면 열돔에 갇힌 각종 먼지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열돔이 생성되면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가 열돔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중국발 미세먼지가 아예 들어오지 못하므로 공기가 맑아지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열돔이 생성되면 폭염으로 힘들고 지치기는 하지만 더이상 미세먼지 유입이 안되어 맑은 하늘을 자주 볼 수 있어 좋은 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열돔현상으로 인한 폭염에 대비하는
여름철 건강관리 수칙은?
열돔현상으로 폭염이 연이어 발생하는 올여름, 폭염에 대비하는 여름철 건강관리 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수칙들을 숙지하셔서 여름철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야외활동 시 지켜야 할 수칙
▶ 무더운 시간대(14~17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기.
▶ 외출 시에는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 등을 써서 햇빛에 피부를 노출시키지 말기.
▶ 외출 시 물을 꼭 챙겨주시고, 수분 섭취를 자주 하기.
▶ 노약자는 무더운 시간대에는 집에 머물러주기.
▶ 땀 흡수가 잘되는 가벼운 소재의 밝은 색 옷 입기.
▶ 폭염경보가 내려졌을 때는 야외작업 자제하기.
▶ 야외활동 시에는 그늘과 무더위 쉼터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
실내에서 지켜야 할 수칙
▶ 실내 외 온도차는 5도 이하로 유지하여 냉방병을 예방하기.
▶ 가능하면 에어컨 대신 선풍기 이용하기.
▶ 커튼을 치거나 자외선 차단 필름을 붙이는 등 직사광선 차단하기.
▶ 무더위로 인해 음식이 쉽게 상하니 먹기 전에 체크해보기.
▶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가족이나 주변 어르신의 안부를 확인하기.
에어컨 등 전력 사용량의 급증으로 혹시 일어날지도 모르는 정전에 미리 대비하고, 일사병, 열사병, 열경련 등의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119에 신고하고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합니다.
오늘은 열돔현상 원인과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도 해를 거듭할수록 열돔으로 인한 폭염이 계속 된다고 합니다. 열돔의 원인이 지구온난화이니 만큼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폭염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니 건강관리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런 정보는 어떠세요?
여름과일 종류와 싱싱하게 보관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여름과일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수박? 복숭아? 자두? 날씨가 많이 더워져서 지쳐있는 날에는 시원한 여름 과일을 한 입 먹으면 너무 시원하고 힘이 납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다른 계절보다 과
dinomotg.tistory.com
일반 쓰레기 기준, 재활용 쓰레기 버리는 법
우리가 평생 동안 버리는 일반 쓰레기의 양, 알고 계신가요? 한 사람이 약 70년 동안 살아가면서 버리는 쓰레기의 양은 무려 50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생활을 하다 보면 어떻게든 쓰레기가 나오기
dinomotg.tistory.com
무기자차 선크림, 무기자차 유기자차 차이 무엇일까?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은 사계절 필수 아이템이지만 여름에 특히 꼭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 중 하나입니다. 선크림을 고를 때 잘 알아보고 구입하셔야할 것 중 하나가 무기자차 선크림인지, 유기
dinomotg.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증상, 원인, 수술 후 주의사항 요약정리 (0) | 2021.08.06 |
---|---|
18~49세 백신접종 사전 예약방법 (10부제 백신예약 안내) (0) | 2021.08.04 |
모더나 백신 부작용, 접종간격, 접종횟수 등 요약정리 (0) | 2021.08.01 |
여름과일 종류와 싱싱하게 보관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0) | 2021.07.27 |
로세릴 네일라카로 새끼발톱이 두꺼워지는 무좀 케어(1년 사용후기) (0) | 2021.07.25 |